생활 정보👍

굿윌스토어 의류 방문 기부 후기

매료점 2022. 12. 17. 01:28
반응형

연말 정산 시즌이 돌아오면서, 여름에 굿윌스토어에 옷을 기부했던 것이 떠올라 기부 후기를 올려봅니다 :)
출산 후 두 달만에 몸무게는 임신 전과 같아졌지만, 체형은 예전과 완전히 달라졌습니다. 바지는 벌어진 골반과 뱃살로 인해 맞지 않았고 몸통도 넓어지니 웬만한 옷들은 너무 불편하게 느껴졌어요. 과연 이 옷들을 내가 다시 입을 수 있을까? 고민했는데 아무래도 힘들 것 같았습니다. 살은 뺄 수 있어도 몸통, 특히 흉통은 예전과 동일한 수준으로 돌아가긴 어렵지 않을까 싶어서 과감하게 옷장을 정리하기로 했습니다. 아기 물건이 늘어나면서 수납공간을 마련해야 하기도 했고요. 

 

굿윌스토어 기부 후기

당근마켓을 이용하기에는 일일이 사진 찍고 올리는 게 너무 귀찮아서, 굿윌스토어에 일괄 기부를 하기로 마음먹었습니다. 장애인의 일자리를 만드는 회사의 취지가 마음에 들었고, 비슷한 업체 중에서 정산금액을 많이 쳐준다고 알려져 있기 때문이었습니다. 그리고 기증할 물품이 많으면 방문수거도 해간다고 합니다.

옷을 정리해보니 생각보다 꽤 많이 나왔습니다. 총 6박스가 나왔어요. 그런데 문제는... 굿윌스토어에서는 기증 물품의 양이 많을 때만 방문 수거를 하는데요, 2가지 조건이 있습니다. 

  • 가로+세로+높이 = 125cm 이상인 박스(우체국 박스 5호) 3개 이상
  • 50리터 2봉지 이상

우체국 박스 5호는 상당히 큰 사이즈입니다. 지인이 편의점을 해서 박스를 쉽게 구할 수 있는데, 그곳에서도 구할 수 없었습니다. 그래서 집에서 멀지 않은 곳에 굿윌스토어 안양점이 있길래 직접 방문해서 기증을 하고 왔네요. 매장 앞에 6대 정도 주차할 수 있는 공간이 있습니다. 

 

굿윌스토어에 기증물품을 가져가면 직원들이 창고로 가져가서 물건 상태 및 개수를 빠르게 확인한 다음 기증품 인수증을 써 줍니다. 그리고 기부금 산정이 되면 카톡 이카운트ERP로 기증품 인수증을 보내줍니다. 의류는 73벌, 잡화는 4개로 확인되었고, 최종적으로 186,500원의 기부금이 산정되었습니다. 액수가 생각보단 적어서 아쉬웠어요.

참고로 2022년 12월 31일까지 입고된 기증품만 2022년 연말정산 처리된다고 합니다. 기증신청할 때 기부금영수증을 신청한 개인기부자의 경우 기부금영수증이 자동으로 발행되어 23년도 1월 홈텍스 간소화서비스에서 확인 가능하다고 합니다. 그리고 기부금은 소득공제가 아닌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굿윌스토어에서 기증물품을 검사할 때 저는 잠시 매장을 둘러보았는데요, 물품의 가격은 저렴하면서 상태는 거의 새 상품처럼 좋아서 놀랐습니다. 그래서 모자 2개와 아기 머리핀을 만 원도 안 되는 가격에 구입하였네요. 집 근처에 있었다면 자주 들렀을 것 같습니다. 

 

방문 수거 신청 방법

기증물품 방문 수거를 원하시는 분들이 있을 것 같아서, 간단하게 방법을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모바일 홈페이지 기준으로 안내해 드릴게요. 굿윌스토어 홈페이지에 들어가셔서 기증/후원을 누르시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뜹니다.

아래쪽 파란 화면에서 물품 기증신청 버튼을 누릅니다.

 

기증 전 꼭 확인해야 할 내용 2가지를 안내하고 있습니다.
1. 먼저 기증할 물건이 기증이 가능한 물건인지 확인(오른쪽 사진 참조) 하셔야 합니다. 당연하겠지만 망가지거나 너무 오래된 물건, 유통기한이 지난 식품, 쓰다 남은 제품 등은 안 됩니다. 소형가구, 냉장/냉동 보관을 해야 하는 식품 역시 기증받지 않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사이트를 참고하시거나 오른쪽 사진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2. 기증품 수량 확인을 하셔야 합니다. 방문수거 신청 마지막 단계에 기증품 수량 기재란이 있습니다. 

이후에 개인정보 처리 방침 동의를 클릭하고 다음 버튼을 누릅니다. 

 

물품 기증 신청 및 이력 조회를 위해 문자인증을 하는 절차가 있습니다.

 

처음 굿윌스토어를 이용하시게 되면 신규회원 정보를 입력하라고 나옵니다. 이름, 휴대폰 번호, 주소, 이메일을 입력하고 기부영수증 신청 여부를 선택합니다.

 

이어서 개인인지 기업인지 선택하고, 후원자 주민등록번호 (기부금 영수증 발행용)를 입력합니다. 

 

마지막으로 기부물품 수량을 기재하고, 포장 박스 및 수량을 입력합니다. 그리고 수거 방식 및 수거 희망날짜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그동안 미뤄뒀던 옷장 정리를 하니 마음이 한결 가벼워졌어요. 서랍에 빈 공간이 생겨 정리도 수월해져서 주기적으로 정리 및 기부를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집에 쓸만한 물건이 많지는 않으신가요? 새해를 앞두고 연말정산에 도움도 되고 집안 정리도 할 겸, 기부를 해보시는 것은 어떠신가요? 의미 있는 연말을 보내는 좋은 방법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

 

반응형